본문 바로가기
필기노트/IT 용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by 바른_자세 2021. 11. 7.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란, 네트워크 주소 변환입니다.

IP 패킷에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 재기록하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게 하는 기술입니다.

NAT는 주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데요.

보안 측면에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의 사설 IP를 숨길 수 있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 및 호스트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NAT는 패킷 방향에 따라 SNAT(Source Network Address Translation)과 DNAT(Destination 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구분됩니다.

 

■ SNAT(Sourc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패킷의 출발지(Source)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SNAT는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DIPP(Dynamic IP and Port): 여로 흐스트가 소스 IP 주소에 대해 동일한 공용 IP 주소를 가질 수 있지만 Port 번호는 다를 수 있음
  • 동적 IP: 소스 IP주소만 NAT 주소 Pool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로 1:1 동적 변환 허용
  • 고정 IP: SNAT에서는 원본 IP 주소의 1:1 고정 변환이 허용되지만 원본 포트는 변경되지 않음

■ DNAT(Destination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에 있는 목적지(Destination)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방화벽 또는 로드밸런서 장비를 사용합니다.

 

<참고>

SNAT 대 DNAT: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https://networkinterview.com/snat-vs-dnat 

 

SNAT vs DNAT : What is the difference? » Network Interview

In our previous post, we discussed about the NAT in detail. NAT is abbreviated for Network Address Translation, so the key word here is translation, as it is

networkinterview.com

 

'필기노트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10K 문제  (0) 2021.11.04
DDI(DNS, DHCP, IPAM)  (0) 2021.11.04
IPAM(IP Address Management)  (0) 2021.11.04
크리덴셜 스터핑(Cridential Stuffing)이란?  (0) 2021.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