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NCP 서비스 중 NAT Gateway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NAT Gateway는 비공인 IP를 가진 다수의 서버를 인터넷 상의 공인 IP를 가진 고객의 호스트와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NAT에 대한 설명은 지난 번 블로그에 게시한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2021.11.07 - [필기노트/IT 용어]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Gateway를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Public IP 서비스와 달리 외부로부터의 직접 접근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이 향상되고요.
여러 대의 서버들이 하나의 NAT Gateway를 공유하여 외부로 접속 가능합니다.
NAT Gateway의 특징을 살펴볼까요?
- IPv4 프로토콜 지원. 하위 프로토콜로 ICMP, TCP, UDP 모두 지원
- 고객이 신청한 NAT Gateway는 하나지만 내부적으로는 고속 회선 및 장비 모두 이중화
- 등록된 Peer IP만 접속을 허용하여 예상치 못한 접속이나 외부의 다른 IP로부터 악의적인 접속을 원천 차단
- Auto Scaling을 적용하여 서버를 증설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NAT Gateway 설정을 자동 적용 가능
- 필요에 따라 NAT Gateway 추가 이용 가능(단, VPC 환경에서는 Zone 당 1개 씩 생성 가능, 최대 2개 지원)
NAT Gateway 서비스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요?
<참고>
- NAVER CLOUD PLATFORM > Service > NAT Gateway 설명 및 사용가이드
https://www.ncloud.com/product/networking/natGateway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Cloud 보안 > NCP(Naver Cloud 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P] Classic / VPC 환경 (0) | 2021.11.07 |
---|---|
[NCP] Network ACL / ACG (0) | 2021.11.05 |
[NCP] Sub Account (0) | 2021.11.05 |